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09:47
본문
Download :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hwp
이 찾아오시는 하나님에 대한 사상은 역싸와 종말을 연결시키는 구약 가르침의 중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다. 예수님은 사역의 초기부터 “때가 찾고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선포를 했다” 그러나 아무도 예수님에게 하나님 나라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 질문을 하지 않았다. 이장의 목적은 신약 메시지의 배경이 되는 예언자적 희망을 分析(분석)하는 것이다. 마지막 사건의 모습은 하나님의 신적인 통치의 필연적인 결과물들이다. 그러나 선지자들은 하나님을 온 세상의 왕으로 선포를 하였다. . 하나님께서 이 땅을 심판하고 하나님이 왕이신 것을 알지 못하는 자들에게 그의 통치를 확립하기 위해서 이 땅에 오시는 분이시기 때문일것이다 하나님은 땅위에 초월해 계신 분이지만 하늘에 홀로 계시지 않고 그의 백성을 축복하고 심판하기 위해서 이 땅에 찾아오시는 분이시다. 왕으로서 하나님의 역동적인 개념은 그의 왕적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그의 백성을 찾아오시는 하나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아 대관식 시편으로 불리 우는 시편을 보면 백성들이 기뻐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하늘의 왕으로 앉아이기 때문이 아닐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역동적인 특징은 히브리 단어 말쿠트 라는 단어를 통해 설명(explanation)할 수 있다아 이 단어는 왕위, 왕권, 통치, 왕국, 통치권, 지배력의 뜻이 있다아 이 단어가 하나님에게 사용이 되어질 때에는 하늘의 왕으로서 그의 권위와 통치를 언급하는데 사용이 되었다.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
Download :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hwp( 73 )
구약성경의 개념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그것이 신중심적이고 역동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을 그의 백성 삼기 위해서 애굽에 찾아오신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역싸 가운데 반복해서 찾아오셨다. 중요한 것은 마지막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어떤 모습일 것이냐가 아니라 하나님이 통치하실 것이라는 것이다. 구약에서는 하나님 나라라는 표현이 쓰여지지 않았다. 그들은 이미 구약의 약속과 유대 묵시문학의 해석을 통해서 하나님 나라의 의미를 알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구약의 선지자들이 선포한 예언의 核心에는 희망이 있다아 그것을 묵시문학에서는 변경에서 사용을 했다. 그 하나님은 하나님 나라를 완성을 하고 사악한 자들을 심판하기 위해서 반드시 오실 것이다. 이스라엘의 희망은 역싸 안에 근거를 두고 있고 역싸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역동적인 희망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설명
.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순서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구약의 약속 - 역동적인 희망, 종말론적인 희망, 이 땅의 희망
다. 그러나 이것은 불완전하고 부분적인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통치이다. 하나님은 온 세상의 왕이신 반면 그의 백성인 이스라엘에게는 특별한 왕이시다. 이 시내 산 방문이 그의 세계와 그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관계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 예언자적 희망과 묵시적 메시지 사이에는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하나님이 시내 산에 방문을 하실 때 창조물은 하나님의 영광 앞에서 떨었다. 시내 산에서 스타트해서 하나님 나라에서 마지막 구속에 이르는 이스라엘 전체 역싸는 하나님의 신적인 방문의 빛 안에서 볼 수 있다아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왕이 되기 위해서 시내 산에 찾아 오셨다. 땅이 떨리고 번개가 치고 천둥이 울렸다. 그래서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통치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온 세계 위에 충만하게 될 날을 고대하고 희망했다. 하나님의 통치는 이스라엘의 역싸 안에서 현실화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