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20:12
본문
Download :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hwp
부정 극성을 띤 constituent 과의 공기 관계를 보이며 부정문을 형성하는 요소에는 ‘없-, 모르-’등이 있으며, 통사적 부definition 문제와는 다른 의미론적인 특징을 가지는 요소에는 ‘다르-, 반대하-, 거역하-, 거절하-’…(省略)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 ,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 통사론
설명
순서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
다.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통사론,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 통사론 조사보고서.hwp( 65 )
‘안’부정문과 ‘못’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
1. 들어가기
국어 부정문의 생성 절차에는 ‘無-, 未-, 不-, 非-’ 등과 같은 한자어 접사가 명사와 통합되어 부정문을 생성하는 ‘형태적 부정문’ 생성 절차와 ‘통사적 부정문’ 생성 절차가 있다아1)1) 이것은 부정 극성을 띤 constituent 과의 공기 현상을 보이지 않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류한 것이며, 부정문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요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