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7:34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hwp
이 되는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1. 북곽선생의 ‘흥(興)’
내가 표현기법으로서의 ‘흥(興)’을 처음 본 것은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호질(虎叱)`에서였다. 잠시, ‘흥’을 만나기까지의 과정을 복기해 보자.
때마침 정(鄭)나라의 어느 고을에 벼슬을 좋아하지 않는 척하는 선비 하나가 있으니, 그의 호는 북곽선생(北郭先生)이었다. 나이 마흔에 손수 교정한 글이 1만 권이요, 또 구경(九經)1)1) 《역경(易經)》《서경(書經)》《시경(詩經)》《춘추좌전(春秋左傳)》《예기(禮記)》《주례(周禮)》《효경(孝經)》《논어(論語)》《맹자(孟子)》
의 뜻을 부연(敷衍)해서 책을 엮은 것이 1만 5천 권이나 …(省略)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1.gif)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2.gif)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3.gif)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4.gif)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5.gif)
![[인문어학]%20시는%20어떻게%20말하나%20-비흥-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B%9C%EB%8A%94%20%EC%96%B4%EB%96%BB%EA%B2%8C%20%EB%A7%90%ED%95%98%EB%82%98%20-%EB%B9%84%ED%9D%A5-_hwp_06.gif)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시 말하나 비흥
설명
순서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시,말하나,비흥,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문어학]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hwp( 65 )
시는 어떻게 말하나
-비흥-
1. 북곽선생의 ‘흥(興)’
내가 표현기법으로서의 ‘흥(興)’을 처음 본 것은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호질(虎叱)`에서였다.
본편2)2) 우리가 흔히 `호질`이라며 인용하는 부분은 ‘호질 이야기’를 짓게/쓰게/얻게 되는 과정을 다룬 프롤로그와 ‘後識’ 사이에 끼어 있는 글이다. 나이 마흔에 손수 교정한 글이 1만 권이요, 또 구경(九經)1)1) 《역경(易經)》《서경(書經)》《시경(詩經)》《춘추좌전(春秋左傳)》《예기(禮記)》《주례(周禮)》《효경(孝經)》《논어(論語)》《맹자(孟子)》
의 뜻을 부연(敷衍)해서 책을 엮은 것이 1만 5천 권이나 되므로, 천자(天子)가 그의 의(義)를 아름답게 여기고, 제후(諸侯)들은 그의 이름을 사모하였다. 잠시, ‘흥’을 만나기까지의 과정을 복기해 보자.
때마침 정(鄭)나라의 어느 고을에 벼슬을 좋아하지 않는 척하는 선비 하나가 있으니, 그의 호는 북곽선생(北郭先生)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