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ing & Viru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1 23:57본문
Download : Hacking & Virus.doc
▶ Hacking & Virus 기법의 동향
▶ 최근 Hacking & Virus 특징
▶ 보안취약점 現況(현황)
▶ 최근 Hacking & Virus 사고
▶ Hacking & Virus 대응 동향
▶ 국외 대응 사례(instance)
▶ 국내 대응 사례(instance)
▶ IDS Architecture
▶ 침입 모델 기반 분류
▶ 데이터 소스 기반 분류
▶ 네트워크 및 호스트 베이스 침입탐지 시스템 기본 기능 비교
▶ 네트워크 및 호스트 베이스 침입탐지 시스템 Response Options
▶ 침입 탐지 영역
▶ IDS의 절차
▶ IDS의 방법론
▶ IDS의 성능 문제
▶ 대안 모색
▶ IPS
▶ IPS의 기반 조성
▶ IDS에서 IPS로 變化추이 reference(자료)
▶ Firewall과 IPS
▶ 최근 Hacking & Virus 사고
◈ 주요 특징
※ 공격은 주로 10개 국가들로부터 발생
미국 > 한국 > 독일 > 중국(China)...
※ 01년대비 02년도 취약점 리포트 81.5% 증가
※ 사고의 50% 이상이 내부의 설정오류로 나타남
※ 1~2시간 내에 전세계 감염
- Auto Scanning & Exploit
Using Vulnerability, E-mail, Shared folder, IRC
- 홈페이지 방문, 메일 확인만으로 감염 가능
Nimda Worm, Badtrans, ...
- 사고의 대규모화와 글로벌화
- 윈도우 시스템 공격
- DDOS 공격 양상
※ 최초 유포후 15분이면 상황 종료
◈ Win32관련 Warm 사고
- 클레즈, 오파서브 및 버그베어 세 가지 혼합형
- 2001년의 비하여 Warm의 위협이 약 두배쯤 높음
- 2001년의 코드 레드와 님다가 초래한 만큼의 피해를 발생시키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위협의 광범위한 전파는 Warm이 실질적 위험을
제공할 것 이라는 사실을 그대로를 상시켜 주고 있음.
◈ Linux관련 Warm 사고
- 2002년 9월 Linux.Slapper Warm이 출현하여 리…(skip)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기타
Hacking & Virus
200312171114025123 , Hacking & Virus기타레포트 ,
200312171114025123
Download : Hacking & Virus.doc( 88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