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 jjalbang5 | jjalbang.co.kr report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 jjalbang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jalbang5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16:57

본문




Download :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hwp




崔英成, 󰡔譯註 崔致遠全集 󰡕1, 아세아文化(문화)사, 1998, p. 15.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5514_01_.jpg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5514_02_.jpg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5514_03_.jpg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5514_04_.jpg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5514_05_.jpg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설명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四山碑銘󰡕은 최치원이 찬술한 비문 가운데 신라의 불교사를 비롯하여 여러 면으로 가치가 높은 네 편을 뽑아 한 책으로 만든 것이다. 비문의 내용 analysis을 통해 알아낼 수 있는 사실들은 󰡔四山碑銘󰡕의 가치를 확립하는데 중요한 data(資料)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

Ⅱ. 四山碑銘의 문체적 특징
다.
1. 비문(碑文)으로서의 특징
이 가운데 지증비명, 진감비명, 낭혜비명은 고승대덕들에 대한 각각의 묘지명이고, 숭복사비명만이 유일하게 因山移寺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아 유영봉, 「四山碑銘 硏究序說」, 󰡔韓國漢文學硏究󰡕제 14집, 한국한문학회, 1991, pp. 3-4.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비라는 양식의 작품을 창작함에 있어서는 역사가로서의 재능이 요구되는데, 비문(碑文)에서 사실의 나열은 전기와 같고 운(韻)의 구성은 명(銘)과 같다.



Download :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hwp( 45 )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순서
.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四山碑銘은 비문(碑文)이면서 명문(銘文)인데, 비문과 명문은 함께 기록되는 경우가 많으나 그 체제나 성격은 상이하다. 네 편의 비문이란, 곧 崇巖山聖住寺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銘, 智異山雙磎寺眞鑑禪師碑銘, 初月山大崇福寺碑銘, 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碑銘 󰡔孤雲先生文集󰡕과 󰡔海雲碑銘註󰡕에 실린 순서이다.
을 말하며, 위의 네 군데 산 이름을 취하여 일반적으로 ‘四山碑銘’이라 일컫는다. 이때 비석을 세움으로써 산악(山岳)의 높이를 더 늘어나게 하였으니, 이를 가리켜 비(碑)라고 부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碑文과 銘文으로서의 󰡔四山碑銘󰡕의 문체적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四山碑銘󰡕이 변려문으로 기록된 만큼 당시 변려문의 전래 과정과 특징을 소략하게 살펴보고, 그러한 특징들이 󰡔四山碑銘󰡕에 드러난 양상을 밝혀 볼 것이다. 또한 궁궐 종요에서 있었던 견고한 나무를 비하고 칭했다. 그러므로 훌륭한 덕행을 강조하여 서술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그 사람의 맑고도 밝은 풍채의 정화를 드러내도록 해야 하며, 아름다운 행적을 분명하게 기술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탁월하고도 위대한 공적을 드러낼 수
최치원 사산비명 연구
또한, 사산비명은 당시 中國에서 유행하던 변려문체로 지어졌는데, 이는 고운 최치원이 당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수용하여 연마한 문체이다. 그 후 묘혈 앞에 있는 단단한 나무로 판을 만들어 돌 대신에 죽은 자의 본적을 새겨 비문을 만들었다. 상고시대의 제왕(帝王)들은 하늘과 땅에 보고하는 말들을 기록하여 그것을 하늘과 땅에 알리는 의식을 거행했었다. 또한, 현재 󰡔四山碑󰡕의 보존 상태에 대해 언급하고 각 碑文 내용을 analysis해 볼 것이다.

최치원이 29세(885)에 귀국한 이후부터 은거하기 전까지의 시기에 모두 왕명에 의해 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碑銘(헌강왕 11년(885), 12월), 智異山雙磎寺眞鑑禪師碑銘(헌강왕 12년(886) 정월 이후), 初月山大崇福寺碑銘(헌강왕 12년(886) 봄), 崇巖山聖住寺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銘(진성왕 4년(890) 11월)의 순으로 찬술되었다. 그러므로 변려문의 형성 과정과 전래되어 정착되는 과정을 간략하게나마 살펴보고 사산비명에 반영된 변려문의 특징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아

비(碑)란 비(埤)의 뜻이다. 네 비명의 이름은 편의상 智證碑銘, 眞鑑碑銘, 崇福寺碑銘, 朗慧碑銘으로 略稱되어 왔기에 따르기로 한다. 따라서 사산비명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기에 앞서 먼저 한문학의 한 갈래로서 사산비명이 갖는 문체적 특징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전체 24,35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