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9 01:23
본문
Download :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hwp
2. 한국 신학의 태동과 흐름의 몇가지 맥
한국 신학의 태동에 관한 신학적 성찰논문으로서는 유동식교수의 <한국신학의 광맥> 속에서 정립해놓은 지론을 능가 할 수 없다.
그 한가지는 길선주에서 꽃피고 이용도에서 극치에 오른 성령론적 교회부흥신학의 흐름이…(drop)
Download :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hwp( 76 )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kim-322





순서
kim-322 , 한국신학의 태동과 흐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리고, 유동식은 1930년대 한국신학의 삼대초석을 놓은 이로서 박형룡의 근본주의적 보수신학, 김재준의 진보주의적 history 신학, 그리고 정경옥의 자유주의적 실존신학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한국 신학사 시대구분이나, 그 중요한 해석의 시각에 대하여 필자는 대체로 공감하면서, 1930년대 한국신학의 초석이 놓여지는 시기에 관과할 수 없는 두가지 신학적 흐름을 거기에 추가하여 주장하고자 한다. 유동식은 위 책에서 한국 개신교 신학사를 크게 세가지 시대로 구분하여 명명하기를 ꡐ한국신학의 태동시대ꡑ(1885-1930), ꡐ한국신학의 정착시대ꡑ( 1930-1960), 그리고 ꡐ한국신학의 전개시대ꡑ(1960-2000)로 대별한 후에, 끝으로 한국신학의 과제(problem)를 큰 눈으로서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