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Engineering 기초실험 - 탄성계수 푸아송의비 주응력 력집중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16:27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 기초실험 - 탄성계수 푸아송.hwp
- 하중에 따른 스트레인과 변형률
② εq = (ε1+ε3)/2 - [{(ε1-ε2)^2+(ε2-ε3)^2}/2]^1/2 = 18.8584
- 시편의 크기
4. 응력집중계수 측정實驗
다. - 프와송의 비 = ν = │εq/εp│= 18.8584 / 85.2832 = 0.2211
5. 오차의 요인
-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 시 과定義(정이) 미흡함 : 표면정리 밑 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오차가 발생
② 폭 : 2.65cm
- 주응력 계산
- 하중에 따른 스트레인과 변형률
③ A = ε1 – 0.743B – 1.552C = 20 – {0.743*(-16.01)} - {1.552*(-1.2)} = 20 + 11.8954 + 1.8624 = 33.7578
③ 두께 : 0.415cm
- 최대하중의 크기 : 1000N/㎠을 가할 것을 가정했을 때의 계산이므로 생략한다.
- 스트레인 측정
1. 탄성계수 측정(測定) 실험 데이터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① σp = {εp*A/P(1-ν^2)}*(εp+ν*εq) = {85.2832*0.8795/0.981(1-0.2211^2)}*(85.2832+0.2211*18.8584) = 7231.2929 N/cm^2
기계Engineering 기초실험 - 탄성계수 푸아송의비 주응력 력집중실험
- 와팔보 굽힘theory(이론)에 의한 주응력 산출 Gage
① σL = (6*P*L)/(b*t^2) = (6*0.981*26.1)/(2.665*0.33^2) = 153.6246 / 24.4720 = 6.2776 N/cm^2
기계공학 기초실험,탄성계수 푸아송의비 주응력,력집중실험,탄성계수
순서
② B = 3.49(ε1-ε2) - 1.20C = -17.45 + 1.44 = -16.01
① 길이 : 20.175cm
- 4번 스트레인의 보정 : ε4’ = ε4 * setting gage factor / NO.4 gage factor = 20 * 2.1 / 2.1 = 20
- 외삽법에 의한 계수의 계산
- 구멍 변의 최대 스트레인 : εMAX = A + B + C = 33.7578 – 16.01 – 1.2 = 16.5478
① C = 5.68(ε1-ε2) - 5.44(ε2-ε3) = 5.68(20-25) - 5.44(25-30) = -28.4 + 27.2 = -1.2
설명
- 주변형률 계산




② σq = {εq*A/P(1-ν^2)}*(εq+ν*εp) = {18.8584*0.8795/0.981(1-0.2211^2)}*(18.8584+0.2211*85.2832) = 670.4205 N/cm^2
Download : 기계공학 기초실험 - 탄성계수 푸아송.hwp( 45 )
- 응력집중계수 : Kt = εMAX / ε4’ = 16.5478 / 20 = 0.8274
① εp = (ε1+ε3)/2 + [{(ε1-ε2)^2+(ε2-ε3)^2}/2]^1/2 = 85.2832
1. 탄성계수 측정실험 데이터 - 시편의 크기 ① 길이 : 20.175cm ② 폭 : 2.65cm ③ 두께 : 0.415cm - 최대하중의 크기 : 1000N/㎠을 가할 것을 가정했을 때의 계산이므로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