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프로테오믹스 > jjalbang6 | jjalbang.co.kr report

프로테오믹스 > jjalbang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jalbang6

프로테오믹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4 22:45

본문




Download : 프로테오믹스.hwp







본 자료는 프로테오믹스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프로테오믹스

Download : 프로테오믹스.hwp( 16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다.
실제로, 프로테오믹스가 약물표적발굴에서도 가장 강력한 기술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테오믹스는 기능을 갖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종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測定) 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고,
둘째, 생물학적인 동요(perturbation)(질병, 약물투여, shock등) 에 의하여 변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양상의 변화를 정확하게 관찰 할 수 있으며,
셋째,in vivo 에서 유전자발현의 궁극적인 양상을 규명할 수 있고,
넷째, 유전자, 단백질 및 질병간의 연결고리를 제공한다.프로테믹스2 , 프로테오믹스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설명




프로테오믹스_hwp_01.gif 프로테오믹스_hwp_02.gif 프로테오믹스_hwp_03.gif 프로테오믹스_hwp_04.gif 프로테오믹스_hwp_05.gif 프로테오믹스_hwp_06.gif

프로테믹스2
1. 서론

2. 본론

1) 프로테오믹스의 goal(목표)
2) 프로테옴 (proteome)과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그리고 유전체기능분석학 (Functional Genomics)
(1) 정이
(2) 프로테오믹스와 유전체기능분석학(Functional Genomics)
3) 프로테오믹스의 核心 기술
(1) 단백질 질량분석기술
(2) Preparative 2D
4) 프로테오믹스의 분석도구인 데이터베이스
5). 프로테오믹스의 현재 기술상의 문제가되는점
6) 프로테오믹스의 이용
(1) Differential Display 패턴 분석
(2) Quantitative Proteomics
(3)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규명
(4) Protein-Protein interactions
(5) Fuctional Proteomics
7) 인체질병요인단백질의 탐색과 의학에의 응용
(1)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암연구의 예
(2)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감염성 질환 연구事例(사례)
(3)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항비만관련연구
(4) 프로테오믹스를 이용한 생식기전 연구
(5) 약물독성 연구분야
8). 프로테오믹스의 향후 발전방향
(1) 단백질의 전처리 기술
(2) Laser Capture Microdisection (LCM)의 이용
(3) 프로테오믹스의 자동화

3. conclusion


1) 프로테오믹스의 goal(목표)

프로테오믹스의 goal(목표) 를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놈데이타 (DNA/RNA)는 약물표적을 식별하는데 충분한 정보가 되지 못할뿐더러, 단백질만이 실제로 약물의 mode-of action 의 최종 장소이고,
둘째, 유전자 발현에서 보이는 effect들은 단순히 단백질수준에서 내는 약물effect에 대한 反應에 지나지 않으며,
셋째,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발현간에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항상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전자와 이것의 …(생략(省略))
본 reference(자료)는 프로테오믹스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다시 말해서, 프로테오믹스는 유전체 구조와 세포내 행동간에 갭을 메우는 역할을 하는데 게놈의 다이나믹한 단백질 생성물과 그 들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생명Engineering 분야에서 이 기술의 발전은 대량발굴탐색(High-throughput screening)이 가능한 2-D 전기영동 분석과 MALDI-TOF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에 의한 자동화된 단백질 분자 구조 분석 기술 및 이 들을 지원하는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의 발전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테오믹스는 세포의 생리적 상태변화에 따른 분자적인 현상과 세부적인 기전을 발굴할 뿐만 아니라 어떻게 단백질의 표현형 (phenotype)이 질병과 약물 처리에 따라 변화하는 지를 분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약물표적의 식별과 검증을 할 수 있게 된다된다.
전체 24,08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