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일반기계工學] FE-C 상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3 18:56본문
Download : [일반기계공학] FE-C 상태도.hwp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설명
순서
일반기계공학, FE-C 상태도
상태도란 여러가지 조성의 합금을 용융상태로부터 응고되어 상온에 이르기까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즉 합금의 성분비율과 온도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횡축에는 조성(%), 종축에는 온도(℃)로서 표시하고 있다. 상(相, phase)이라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결정학적으로 균일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뚜렷한 계면에 의해서 합금의 다른 부분과 구분된다된다.
Download : [일반기계공학] FE-C 상태도.hwp( 28 )
다. 여기에 탄소원자가 함유되면 두가지의 변화가 나타난다.
(1) α 페라이트 α철에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고용체를 α 페라이트 또는 단순히 페라이트라고 부르며, BCC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태도에서 나타내듯이 α 페라이트의 최대탄소고용도는 723℃에서 0.02%이므로 페라이트에 고용할 수 있는 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기계공학] FE-C 상태도-9171_05_.jpg](/prev/201304/%5B%EC%9D%BC%EB%B0%98%EA%B8%B0%EA%B3%84%EA%B3%B5%ED%95%99%5D%20FE-C%20%EC%83%81%ED%83%9C%EB%8F%84-9171_01_.jpg../prev/201304/%5B%EC%9D%BC%EB%B0%98%EA%B8%B0%EA%B3%84%EA%B3%B5%ED%95%99%5D%20FE-C%20%EC%83%81%ED%83%9C%EB%8F%84-9171_02_.jpg../prev/201304/%5B%EC%9D%BC%EB%B0%98%EA%B8%B0%EA%B3%84%EA%B3%B5%ED%95%99%5D%20FE-C%20%EC%83%81%ED%83%9C%EB%8F%84-9171_03_.jpg../prev/201304/%5B%EC%9D%BC%EB%B0%98%EA%B8%B0%EA%B3%84%EA%B3%B5%ED%95%99%5D%20FE-C%20%EC%83%81%ED%83%9C%EB%8F%84-9171_04_.jpg../prev/201304/%5B%EC%9D%BC%EB%B0%98%EA%B8%B0%EA%B3%84%EA%B3%B5%ED%95%99%5D%20FE-C%20%EC%83%81%ED%83%9C%EB%8F%84-9171_05_.jpg)
순철은 910℃이하에서는 체심입방격자이고, 910℃ 이상1390℃까지는 면심입방격자이다. 이러한 내용이 그림 2.1에 잘 나타나 있다 엄격하게 말해서 시멘타이트(Fe3C)로 불리우는 금속간화합물은 평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도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형상태도가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그림 2.1의 상태도는 준안정 상태도이다. 어떤 조건하에서 시멘타이트는 더욱 안정한 상인 철과 흑연으로 분해될 수 있다 그러나 Fe3C는 한번 형성되기만 하며 실질적으로 매우 안정하므로 평형상으로 간주된다된다. 그런데 여기서 횡축의 조성 즉 성분비율을 나타내는데에는 중량비율(wt%)이 보통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자비율(at%)로 나타낼 때도 있다. 즉 변태온도가 낮아지고 변태가 단일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온도범위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된다. 이들의 상관관계는 다음절에서 자세하게 나타냈다.
[일반기계工學] FE-C 상태도
상태도란 여러가지 조성의 합금을 용융상태로부터 응고되어 상온에 이르기까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이 각각의 상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합금의 constituent 비율과 온도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횡축에는 조성(%), 종축에는 온도(℃)로서 표시하고 있다아 그런데 여기서 횡축의 조성 즉 constituent 비율을 나타내는데에는 중량비율(wt%)이 보통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자비율(at%)로 나타낼 때도 있다아 이들의 상관관계는 다음절에서 자세하게 나타냈다. Fe-Fe3C 상태도에 나타나는 고상의 종류에는 4가지가 있다 즉, α페라이트(ferrite),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시멘타이트 및 δ 페라이트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