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4 04:42본문
Download : 한국.hwp
그러나 분청사기는
11. 나가며
10. 근대미술
(미술)
8. 고려시대
5. 인터넷(Internet) data(자료)
2. 구석기 시대
6. 통일신라 시대
7. 발해시대
설명
2. 한국 미술사 / 대한민국예술원 / 1984년

9. 조선시대
3. 신석기 시대
3. 한국근대미술의 歷史 / 최 열 / 열화당 / 1998년
미술사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미술歷史 미술발전 / 1. 우리미술 100년 / 오광수, 서성록 / 방일영culture재단 / 2001년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청동기·철기시대
조선왕조 중기 이후 자취를 감추고 이후 청화백자가 대종이 되었다.
미술사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미술역사 미술발전
다. 또한 일용잡기가 많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서민의 소박한 염원이 표현된 문양이 나타났다. 조선 전기의 청화백자에는 고려 청자의 형태가 남아 있었으나, 임란 이후의 시기에 만들어진 그릇의 형태는 넓은 어깨의 위치가 내려와 전체 모양이 주珠형에 가까운 양감이 나타나면서 조선 시대 청화백자의 특징으로 나타나게 된다. 청화백자는 순도높은 순백의 그릇 표면에 코발트계의 청색 안료로 그림을 그리고 순백자와 마찬가지로 잡물의 함유가 없는 순도 높은 장석계 유약을 씌워 구워 낸 것이다. 이는 완전히 조선적인 발상과 조형감각으로 제작된 것이다.
Download : 한국.hwp( 91 )
4. 한국근대미술 / 윤범모 / 한길아트 / 1998년
1. 들어가며
한국미술사
미술사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미술역사 미술발전 / 1. 우리미술 100년 / 오광수, 서성록 / 방일영문화재단 / 2001년 2. 한국 미술사 / 대한민국예술원 / 1984년 3.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 최 열 / 열화당 / 1998년 4. 한국근대미술 / 윤범모 / 한길아트 / 1998년 5. 인터넷 자료 (미술)
5. 삼국 시대
청화백자는 분청사기와 함께 조선시대 도자기의 두 주류를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