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이방인이 본 조선 > jjalbang6 | jjalbang.co.kr report

이방인이 본 조선 > jjalbang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jalbang6

이방인이 본 조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5:39

본문




Download : 이방인이 본 조선.hwp






제1장 오늘의 담론: 왜 지금 제국주의인가에는 이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가 서술되어 있따 저자에 의하면 독립 후 55년이 지난 지금에도 한국은 여전히 `탈식민`해 있지 못하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는 여전히 한국을 지배하고 있따 그리고 한국이 여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21 세기(世紀) 에도 중심부의 담론과 의식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순서

설명

이방인이 본 조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제2장 제국주의란 무엇인가에서 저자는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인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이방인이 본 조선.hwp( 25 )


다. 이방인이본조선다시읽 , 이방인이 본 조선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이방인이본조선다시읽
이방인이 본 조선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1.gif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2.gif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3.gif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4.gif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5.gif 이방인이%20본%20조선_hwp_06.gif
이방인이 본 조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자국어로 된 적절한 안내서의 중요함을 처음 깨달은 것이 그 때였던 것 같다. 인도 경제사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처음부터 아니었지만 수 많은 연구 문헌에 접했을 때 이것을 어떻게 소화할 수 있을지 두려움에 빠졌었다.

이 책은 모두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국주의 지배가 제국주의 국가 및 식민지의 경제에 미친 influence(영향)과 같은 고전적인 문제에서부터 포스트 식민주의와 페미니즘 같은 최근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따 서평을 하는 방법으로 단조롭기는 하지만 저자의 문제가 여러 부문에 걸쳐 있기 때문에 장별로 조금씩 요약해 책의 전모를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 옥석을 가리고, 읽어 이해하고, 분류하고, 비판하는 모든 과정이 인도에 대한 사전 지식이 거의 없었고, 영어를 읽는 속도도 느린 내게 힘에 버거웠던 기억이 난다. 서평자의 원래 전공이 한국 경제사였기 때문에 한국의 식민지 경험은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인도 경제사를 어떻게 공부해야 할 지 막막했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박지향 교수의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에는 옥석이 가려져 있고, 분류가 이루어져 있으며, 관련된 논쟁이 introduce되어 있따 이 책은 아마도 제국주의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박지향『제국주의』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
이 책을 읽는 중에 서평자가 인도와 한국의 식민지 경험을 비교 검토하고자 작정하고 인도 경제사 공부를 처음 했을 때가 떠올랐다.
전체 24,08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