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16:47본문
Download :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략.ppt
사업계획/기타
Download :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략.ppt( 54 )
설명
에너지,산업부문,중심,기후변화,대응,신국,전략,기타,사업계획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략 ,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략기타사업계획 ,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 전략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술






에너지 산업부문 중심 기후변화 대응 신국가 전술
- 에너지 · 산업부문 중심 -
기후變化 문제제기와 국제동향
I.
우리나라의 기후變化 대응 現況
II.
향후 대응전략(戰略)
III.
향후 추진일정
IV.
기후變化 문제제기와 국제동향
I.
1. 기후變化 문제 대두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
화석연료 사용증가
지구온난화
기상이변 초래
지구 온난화 효능 발생
0.74℃상승
1906
2005
[전세계 기온 變化]
2100년 최대 6.4℃상승 展望 (3℃상승시 1,500만명 홍수위협)
경제비용 GDP 5~20% 수준 증가 (사전 노력시 GDP 1% 수준으로 예방)
지난 40년간 1.6배 상승
1.5℃상승
1906
2005
[우리나라 기온 變化]
전세계 1.6배
1965
2006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average)온도 상승
1
향후 추가적 노력이 없을 경우
석탄1.1배
석유1.5배
가스3.3배
2. 기후變化 논의경과
선진국에게 감축goal(목표) 부과
1990년 대비 평균(average) 5.2%감축
우리나라 비준(’02.10)
2
기존방향과는 다른 다양한 접근방식 논의
(’92.6)
(’01.3)
(’97.12)
(’05.2)
(’05.11)
(’06.1)
리우 유엔環境개발회의에서 채택
우리나라 가입(’93.12)
3. 교토체제 이행을 위한 각국의 노력
교토의정서 goal(목표) 달성 불투명, APP 가입 희망
국회차원에서 보다 적극적 감축정책 촉구
경제발전 저해를 이유로 교토의정서 비준 거부
주政府(정부) 차원에서 독립적 감축 추진
자국 내 감축실적을 의무감축국가에 판매
국제사회 비판(세계2위 배출국)
▲
-8%
-6%
▲
0.8%
-6%
26.7%
E U
일 본
케나다
미 국
중 국
6.5%
▲
▲
▲
▲
자국내 감축 한계 타국가로부터 배출권을 구매
산업계에 달성 가능한 goal(목표) 만 부여
3
적극적 감축추진으로 2020년까지 20% 추가 감축
시장 메카니즘을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
4. 기후變化 관련 최…(skip)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