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jjalbang6 | jjalbang.co.kr report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jjalbang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jalbang6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22:54

본문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hwp




<정읍사>는 <정과정>과는 달리 ‘다롱디리’라는 후렴이 개입되기에 이같은 alteration(변화) 가 일어났을 것으로 본다. 또 <정과정>이 향가의 잔영이면서도 이 ‘아으’ 부분은 향가의 결구 첫머리에 사용되었다는 ‘아으’와는 그 성격이 달리한다. 형식상 ‘아으’가 붙는 부분까지, 첫 단락은 감탄의 뜻을 담은 호소를 나타내고 둘째, 셋째 단락은 의문형 종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아으’가 어떤 의미 맥락에서 쓰이는지를 알게 한다. 정형시인 향가에서 결구의 첫 머리에 쓰인 ‘아으’는 결구의 처음 을 알리면서 그 이하가 한편의 시가를 완전히 종결짓는 역할을 하는데 비해, <정과정>에서는 감정이 고조된 부분에 감탄적 여음으로 삽입됨으로써 그 기능이 변별된다된다.

레포트/기타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에 관한 내용입니다. 총 11행으로 구성된 이 작품을 크게 네 단락(4/2/4/1)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단락의 구분은 ‘아흐’가 쓰인 바로 다음 행까지 자른 것이다. 또 곡조상 ‘아으’ 바로 다음에 附葉이 항상 뒤따르는 것으로 보아 음악 쪽에서도 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의 ‘아으’ 부분의 역할은 ‘위’ 계열이 그랬던 것처럼 의미상 구분되는 단락들 간에 개입하여 악곡이 계속됨을 지시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따 내용상으로 볼 때 총 세 번의 여음구 중 두 번째는 ‘어긔야 어강됴…(생략(省略))
설명
,기타,레포트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1.gif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2.gif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3.gif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4.gif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5.gif 고려가요%20여음의%20기능과%20특질_hwp_06.gif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에 관한 내용입니다. 향가에서 ‘아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고려가요에서는 ‘아소님하’로 볼 수 있따

②정읍사
<정읍사>에 사용된 ‘아으’ 역시 음악상 <정과정>과 거의 같은 기능을 하고 있따 다른 점은 <정읍사>에서는 ‘아으’ 부분이 小葉으로서 독립된 한 소절을 이룬다는 것인데, 만약 이 노래 역시 <정과정>처럼 ‘아으’가 앞소절에 부연되는 형삭이었다면 附葉에 속했을 것이다. 향가에서는 전체를 종결하는 기능을 맡았던 ‘아으’가 단락을 구분하는 부분 종결의 기능으로 바뀐 것이다.순서









시가작품론
①정과정
<정과정>은 보다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향가의 잔영’으로 평가되는 작품인데, ‘아으’ 부분이 작품에 두 번 나타나며 전체 의미 해석상 차지하는 비중도 꽤 크다.시가작품론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기타레포트 ,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hwp( 33 )





다.
전체 24,08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