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1:15
본문
Download :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hwp
★ [물] : 양주동의 경우 물의 빛깔이 새파라므로 기파랑의 푸르고 맑은 정신세계를 비치는 대상으로 보고 있으나 김완진의 경우 단순히 화자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일 뿐이다. 이에 반해 김완진의 경우 달은 상상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으로 광명과 염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김완진의 해독으로 작품을 보면, 작중 화자는 시름에 잠겨, 신성…(skip)
찬기파랑가의해석에따른차이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
,기타,레포트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찬기파랑가의해석에따른차이 ,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순서
Download : 찬기파랑가의 해석에 따른 차이.hwp( 25 )
설명
다.
★ [돌] : 양주동의 경우 돌은 냇가에 있는 조약돌로 기파랑의 인품을 이야기하고 있고, 김완진의 해석의 경우 화자가 있는 공간의 ‘자갈 벌’을 말하고 있따 이는 기파랑의 원만하고 강직한 성품을 이야기하고 있따
- 종합해보면 양주동 해독의 경우 기파랑이 화랑으로서 평소에 지녔던 인품을 기림에 있어 고고한 인격을 직접 노래하기보다는 자연물인 달과의 문답형식으로 은연중에 나타내고 있따 즉, 달과의 문답을 통해 기파랑의 인품을 찬양한 작품으로 보는 것이다.

★ [달] : 양주동 해석의 경우 달은 흰구름을 좇아 현재 움직이고 있으므로 화자가 직접 볼 수 있는 대상이며 기파랑의 인품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