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04:17본문
Download : [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docx
그는 이 재화들을 ‘베블런재’라 부른다.
⑵ 라이벤스타인
1950년 라이벤스타인 교수가 ‘수요理論(이론)에 있어서의 유행, 속물, 그리고 베블런 效果(효과)’라는 논설에서 처음으로 베블런의 理論(이론)을 경제학에 적용시켰다. 그 대신 광고에 의한 인위적 욕망을 …(drop)
[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 , [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 제도주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비교
다. 시장은 소비자들의 마음에서 우러나는 진정한 수요를 읽지 못한다. 한 상품에 대해 가치판단을 내릴 때도 역시 남들이 그 상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2. 구제도학파
⑴ 베블런
베블런은 “마샬의 수요의 법칙” 과 “노동자는 일 자체가 좋아서가 아닌 임금 때문에 일한다”는 가정을 깨버렸다. “
베블런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울타리 넘어 남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지켜본 후 그것과 크게 어긋나지 않게 행동한다. 이 베블런재의 경우 수요는 ‘남들이 생각할 만한 그 상품의 가격’ 즉 현시적 가격에 비례한다.
⑶ 갈브레스
갈브레스는 자신이 마셜의 ‘수요의 한계효용’ 理論(이론)을 허물었다고 생각했다. 그들이 보기에, 제도는 그 자체로 그 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였다. 그것은 현실을 떠난 경제학자들의 공상에서나 존재할 뿐이다.
“균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라이벤스타인은 이 논설에서 마셜의 수요법칙은 일반적으로 타당하지만 특정재화의 경우 해당되지 않을 때도 있다고 주장했다.[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
레포트/경영경제
[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
순서
설명
Download : [레포트]-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케인지언 경제학 - 의 비교 분석.docx( 17 )
레포트,제도주,경제학,&,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비교,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20제도주의%20경제학%20&%20포스트케인지언%20경제학%20-%20의%20비교%20분석_doc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A0%9C%EB%8F%84%EC%A3%BC%EC%9D%98%20%EA%B2%BD%EC%A0%9C%ED%95%99%20&%20%ED%8F%AC%EC%8A%A4%ED%8A%B8%EC%BC%80%EC%9D%B8%EC%A7%80%EC%96%B8%20%EA%B2%BD%EC%A0%9C%ED%95%99%20-%20%EC%9D%98%20%EB%B9%84%EA%B5%90%20%EB%B6%84%EC%84%9D_docx_01.gif)
![[레포트]-%20제도주의%20경제학%20&%20포스트케인지언%20경제학%20-%20의%20비교%20분석_doc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A0%9C%EB%8F%84%EC%A3%BC%EC%9D%98%20%EA%B2%BD%EC%A0%9C%ED%95%99%20&%20%ED%8F%AC%EC%8A%A4%ED%8A%B8%EC%BC%80%EC%9D%B8%EC%A7%80%EC%96%B8%20%EA%B2%BD%EC%A0%9C%ED%95%99%20-%20%EC%9D%98%20%EB%B9%84%EA%B5%90%20%EB%B6%84%EC%84%9D_docx_02.gif)
![[레포트]-%20제도주의%20경제학%20&%20포스트케인지언%20경제학%20-%20의%20비교%20분석_doc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A0%9C%EB%8F%84%EC%A3%BC%EC%9D%98%20%EA%B2%BD%EC%A0%9C%ED%95%99%20&%20%ED%8F%AC%EC%8A%A4%ED%8A%B8%EC%BC%80%EC%9D%B8%EC%A7%80%EC%96%B8%20%EA%B2%BD%EC%A0%9C%ED%95%99%20-%20%EC%9D%98%20%EB%B9%84%EA%B5%90%20%EB%B6%84%EC%84%9D_docx_03.gif)
![[레포트]-%20제도주의%20경제학%20&%20포스트케인지언%20경제학%20-%20의%20비교%20분석_doc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A0%9C%EB%8F%84%EC%A3%BC%EC%9D%98%20%EA%B2%BD%EC%A0%9C%ED%95%99%20&%20%ED%8F%AC%EC%8A%A4%ED%8A%B8%EC%BC%80%EC%9D%B8%EC%A7%80%EC%96%B8%20%EA%B2%BD%EC%A0%9C%ED%95%99%20-%20%EC%9D%98%20%EB%B9%84%EA%B5%90%20%EB%B6%84%EC%84%9D_docx_04.gif)
![[레포트]-%20제도주의%20경제학%20&%20포스트케인지언%20경제학%20-%20의%20비교%20분석_doc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A0%9C%EB%8F%84%EC%A3%BC%EC%9D%98%20%EA%B2%BD%EC%A0%9C%ED%95%99%20&%20%ED%8F%AC%EC%8A%A4%ED%8A%B8%EC%BC%80%EC%9D%B8%EC%A7%80%EC%96%B8%20%EA%B2%BD%EC%A0%9C%ED%95%99%20-%20%EC%9D%98%20%EB%B9%84%EA%B5%90%20%EB%B6%84%EC%84%9D_docx_05.gif)
제도주의 경제학
&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
제도주의 경제학
1. 제도주의
전통적인 제도주의는 기존 경제학이 취향(taste)이나 기술(technology), 자연(nature)과 같은 concept(개념)으로 제도를 단순화하여 分析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보통 제도주의학파 경제학자들은 지대, 이윤, 노동비용, 소득, 자본 등과 같은 일반적 범주에서 탈피하여 사회의 법, 기풍, 제도와 같은 것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제도주의는 경제의 법적인 근거나 진화적, 습관적, 의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제도가 세워지고 변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경제란 항상 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