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5:13본문
Download :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hwp
그러므로 당사자가 이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한 불이익을 받도록 하지 않으면 공시의 원칙이 관철되기 어렵다.
부동산,공시,원칙과,등기제도,원리,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hwp( 77 )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1. 공시(公示)의 원칙
물권에는 배타성이 있기 때문에 물권의 귀속과 내용, 즉 물권의 현상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표상 또는 인식이 필요하게 된다된다. 등기 또는 인도가 공시의 원칙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이는 거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공시방법을 갖추지 아니한 물권변동의 결과 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부인하는 것이 그 불이익이 될 것이다.
현행법상 부동산물권에 대한 공시의 원칙은 등기라는 제도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아 즉, 민법 제186조는 「부동산에 관한 물권행위로 인한 물권의 득실변경은 등기하여야 그 효력이 생긴다」라고 규정함으로써 법률행위에 의한 부동산물권변동에 관해 형식주의를 채택하고 있다아 따라서 법률행위에 의한 부동산물권변동의 요건은 물권행위와 등기의 두 가지이다. 현행 우리 민법이 취하고 있다아 반면 부분적으로만 효력을 부인하는 방법이 意思主義(對抗要件主義)인데, 공시방법을 갖추지 아니한 경우에 당사자간에 있어서는 물권변동의 효력이 발생하지만, 제3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는 아무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舊民法이 취했던 입법주의이다. 그 효력을 전부 부인하는 방법이 이른바 形式主義(成立要件主義)로서 당사자와 제3자간에는 물론, 당사자 상호간에 있어서도 물권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입법주의이다. 그래서 물권의 변동을 외부에서 제3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상을 공시방법이라 하고, 공시방법을 통하여 물권의 현상을 공시하는 제도를 공시제도라고 한다.
2. 등기제도의 원리
1) 물적편성주의(物的編成主義)…(To be continued )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경영경제레포트 , 부동산 공시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부동산 공시의 원칙과 등기제도 원리
순서
다. 물권변동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가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표상을 갖춘다는 것은 당사자로서는 번잡한 일이다.
이러한 공시제도를 바탕으로 물권의 변동에는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어떤 표상을 갖추어야 한다는 원칙을 공시의 원칙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