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0 05:26본문
Download :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hwp
.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
Download :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hwp( 28 )
1. 협동학습의 定義(정의)
순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을 중시하고 있으며, 협동학습은 이런 목적을 달성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8238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D%98%91%EB%8F%99%ED%95%99%EC%8A%B5%EC%9D%98%20%EC%9D%B4%EB%A1%A0%EA%B3%BC%20%EC%9C%A0%ED%98%95%5D-8238_01_.jpg)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8238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D%98%91%EB%8F%99%ED%95%99%EC%8A%B5%EC%9D%98%20%EC%9D%B4%EB%A1%A0%EA%B3%BC%20%EC%9C%A0%ED%98%95%5D-8238_02_.jpg)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8238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D%98%91%EB%8F%99%ED%95%99%EC%8A%B5%EC%9D%98%20%EC%9D%B4%EB%A1%A0%EA%B3%BC%20%EC%9C%A0%ED%98%95%5D-8238_03_.jpg)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8238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D%98%91%EB%8F%99%ED%95%99%EC%8A%B5%EC%9D%98%20%EC%9D%B4%EB%A1%A0%EA%B3%BC%20%EC%9C%A0%ED%98%95%5D-8238_04_.jpg)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8238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D%98%91%EB%8F%99%ED%95%99%EC%8A%B5%EC%9D%98%20%EC%9D%B4%EB%A1%A0%EA%B3%BC%20%EC%9C%A0%ED%98%95%5D-8238_05_.jpg)
설명
2. 협동학습의 特性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Ⅱ. 본 문
다. Cole and Chan(1987)은 협동학습은 학생들이 그들 집단의 학업수행에 근거해서 보상이나 인정을 받는 협동적 유인구조(誘引構造)와 공동목표(目標)를 향해 소집단에서 함께 공부하는 협동적 처리해야할문제구조를 활용하는 일련의 학습방법이라고 하였다. Schniedewind and Davidson(1987)은 협동적인 교실학습이란 학생들이 공통의 목표(目標)를 통하여 함께 활동함으로써 서로 돕고, 학생들의 다양한 기능이 존중되고 이용되며, 모든 사람이 집단을 위해 무엇인가 기여하게 되고, 교사는 이런 일이 일어나도록 처리해야할문제를 구조화하는 학습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보다는 아직 교사 중심의 학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협동학습에 대한 theory 부분은 이동원(1995), 유형 부분은 정문성․김동일(1998), 정문성(2002)을 주로 참고하였다.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Slavin(1987)은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학생들이 공통의 처리해야할문제를 함께 공부하고 서로 격려하는 일단의 수업방법이라고 하면서, 이것이 동료교수법(peer tutoring)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고정된 강사와 학생이 따로 없고, 다루어야 할 정보가 학생보다는 교사에 의해서 주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고 하였다. 한편 이희도(1988)는 이질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들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공통처리해야할문제를 구성원간의 상호협력으로 해결해 나가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문용인(1988)은 학급의 목표(目標)구조에 따라 그 학급의 집단역동성이 달라짐에 착안하여 수업운영을 협동적으로 이끌어 가려는 전략(戰略) 이라고 하였다.
[협동학습의 theory 과 유형]
.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협동학습의 이론과 유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협동학습이란 먼저 성,능력,인종 등에서 이질적인 학생들이 소집단을 구성하여 공통처리해야할문제를 서로 돕고, 책임을 공유하면서 다 같이 학습목표(目標)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라고 定義(정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성과를 드러내고 있는 협동학습의 여러 유형을 알아봄으로써, 교수․학습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박성익(1985)은 집단구성원 개개인이 소속된 집단 성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가져오고자 서로 협동하여 학습을 전개하는 방법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