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일반화학experiment(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5 01:31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석).hwp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석)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석)화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개 시험관 비밀 적은양 시료를 갖고 그 시료 무엇인지를 알아내 정성
순서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개,시험관,비밀,적은양,시료를,갖고,그,시료,무엇인지를,알아내,정성,화학,실험결과
13개 시험관의 비밀
I. Abstract and Introduction
1. 實驗(실험)의 개요
지난번의 정량分析(분석) 實驗(실험)에 이어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정成分석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퍼즐을 풀어나가 듯 하나하나의 시료를 分析(분석)하였다.
2. 實驗(실험) 과정
이번 實驗(실험)은 미지의 화합물이 무엇인지 分析(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화합물들의 리스트를 갖고 전체 화합물이 무엇 무엇이 있는지 아는 채로 어떤 화합물이 몇 번 화합물인지 分析(분석)하는 것이었다. 혼합물에서 특정물질의 종류를 감식하거나, 또는 어떤 물질이 있나 없나 조사 검출하거나, 또는 물질의 成分을 정하는 일을 화학分析(분석)이라고 하는데, 시료 속에 들어 있는 원소의 종류를 확인하는 화학 分析(분석)법을 정成分석, 어떤 시료에 대하 하나 이상의 成分의 양이나 비율을 결정하는 화학 分析(분석)법을 정량分析(분석)이라고 한다.
Tip 1
Ba(NO3)2 + K2CrO4 → bright yellow precipitate
Ba(NO3)2 + K2C2O4 → bright white ppt
Ba(NO3)2 + H2SO4 → white ppt
Fe(NO3)3 + KSCN → bloody soln
Fe(NO3)3 + Na2S → dark ppt
Cu(NO3)2 + Na2S → dark ppt
Cu(NO3)2 + NH3 → deep blue soln + green ppt
NiSO4 + Na2S → dark ppt
SnCl2 + Na2S → dark brown ppt
Tip 2
NiSO4 + NH3 → blue soln
Na2S + H2SO4 → yellow ppt
Fe(NO3)3 + NH3 → dark ppt
SnCl2 + NH3 → white ppt
Cu(NO3)2 + KSCN → dark ppt
이 과정…(To be continued )
설명
[자연과학] [일반화학experiment(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成分)석)
[자연과학] [일반화학experiment(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成分)석)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13개 시험관의 비밀(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성분석).hwp( 21 )
![[자연과학]%20[일반화학실험]%2013개%20시험관의%20비밀(적은양의%20시료를%20갖고%20그%20시료가%20무엇인지를%20알아내는%20정성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13%EA%B0%9C%20%EC%8B%9C%ED%97%98%EA%B4%80%EC%9D%98%20%EB%B9%84%EB%B0%80(%EC%A0%81%EC%9D%80%EC%96%91%EC%9D%98%20%EC%8B%9C%EB%A3%8C%EB%A5%BC%20%EA%B0%96%EA%B3%A0%20%EA%B7%B8%20%EC%8B%9C%EB%A3%8C%EA%B0%80%20%EB%AC%B4%EC%97%87%EC%9D%B8%EC%A7%80%EB%A5%BC%20%EC%95%8C%EC%95%84%EB%82%B4%EB%8A%94%20%EC%A0%95%EC%84%B1%EB%B6%84%EC%84%9D)_hwp_01.gif)
![[자연과학]%20[일반화학실험]%2013개%20시험관의%20비밀(적은양의%20시료를%20갖고%20그%20시료가%20무엇인지를%20알아내는%20정성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13%EA%B0%9C%20%EC%8B%9C%ED%97%98%EA%B4%80%EC%9D%98%20%EB%B9%84%EB%B0%80(%EC%A0%81%EC%9D%80%EC%96%91%EC%9D%98%20%EC%8B%9C%EB%A3%8C%EB%A5%BC%20%EA%B0%96%EA%B3%A0%20%EA%B7%B8%20%EC%8B%9C%EB%A3%8C%EA%B0%80%20%EB%AC%B4%EC%97%87%EC%9D%B8%EC%A7%80%EB%A5%BC%20%EC%95%8C%EC%95%84%EB%82%B4%EB%8A%94%20%EC%A0%95%EC%84%B1%EB%B6%84%EC%84%9D)_hwp_02.gif)
![[자연과학]%20[일반화학실험]%2013개%20시험관의%20비밀(적은양의%20시료를%20갖고%20그%20시료가%20무엇인지를%20알아내는%20정성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13%EA%B0%9C%20%EC%8B%9C%ED%97%98%EA%B4%80%EC%9D%98%20%EB%B9%84%EB%B0%80(%EC%A0%81%EC%9D%80%EC%96%91%EC%9D%98%20%EC%8B%9C%EB%A3%8C%EB%A5%BC%20%EA%B0%96%EA%B3%A0%20%EA%B7%B8%20%EC%8B%9C%EB%A3%8C%EA%B0%80%20%EB%AC%B4%EC%97%87%EC%9D%B8%EC%A7%80%EB%A5%BC%20%EC%95%8C%EC%95%84%EB%82%B4%EB%8A%94%20%EC%A0%95%EC%84%B1%EB%B6%84%EC%84%9D)_hwp_03.gif)
![[자연과학]%20[일반화학실험]%2013개%20시험관의%20비밀(적은양의%20시료를%20갖고%20그%20시료가%20무엇인지를%20알아내는%20정성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13%EA%B0%9C%20%EC%8B%9C%ED%97%98%EA%B4%80%EC%9D%98%20%EB%B9%84%EB%B0%80(%EC%A0%81%EC%9D%80%EC%96%91%EC%9D%98%20%EC%8B%9C%EB%A3%8C%EB%A5%BC%20%EA%B0%96%EA%B3%A0%20%EA%B7%B8%20%EC%8B%9C%EB%A3%8C%EA%B0%80%20%EB%AC%B4%EC%97%87%EC%9D%B8%EC%A7%80%EB%A5%BC%20%EC%95%8C%EC%95%84%EB%82%B4%EB%8A%94%20%EC%A0%95%EC%84%B1%EB%B6%84%EC%84%9D)_hwp_04.gif)
실험결과/화학
다.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적은양의 시료를 갖고 그 시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정成分석을 한다.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화합물을 서로 섞어서 reaction 을 시키면 침전이 생기거나 용액의 색이 변하는 것을 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