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8-07 07:23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에 관하여.hwp
` 고 하여 처음으로 범자기원설을 제기하였다.
(2) 산스크리트어 유래(由來)설
조선조의 제9대왕인 성종때 제기된 설인데 성현이라는 학자는 `용재총화`라는 저서에서 `초종성 8자, 초성 8자, 중성12자의 글자모양은 범자의 글자모양에 기대어 만들었다. 그 후에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우리나라 언문글자의 모양은 모두 범자를 본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따 한글이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由來)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세종시대 이전에는 어떠한 형태의 문자도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전제가 따르고 있따 세종대왕에 의한 독창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는 설이다.
(3) 파스파 유래(由來)설
파스파문자는 인도계의 티베트문자에서 파생한 것으로 원나라 세조(쿠빌라이)때 훈민정음보다는 170년…(drop)
Download : 훈민정음에 관하여.hwp( 74 )
훈민정음에 관하여
다.` 고 명백히 밝히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조선조의 제 4대 성군인 세종이 집현전을 개설하고 그 곳에서 정인지, 성삼문, 신숙주 등의 학자들로 하여금 한자와는 다르면서도 사용하기에 쉽고 간편한 글자를 만들도록 하여 탄생했다는 것이다.
레포트/기타
훈민정음에 관하여
훈민정음에 관하여훈민정음 , 훈민정음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순서
훈민정음
설명
,기타,레포트
1.훈민정음 창제설의 종류와 진위 문제
(1) 세종대왕 친제설
이 주장은 1940년 안동에서 훈민정음해례본(세종 28년 9월 1O일)이 발견되면서 한글의 기원설로 확고하게 우리나라 학계가 公式 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주장이다. 이 책에 의하면 `초성글자의 기본자는 천.지.인의 3재를 본 떠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