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08:35
본문
Download :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hwp
ㅎ1: “제방 열쇠하고 자동차 키이 말이에요. .....”
ㄱ: 말이에요? I`m talking about.
ㅎ1: ---...
ㄱ: 제방이 뭐에요?
ㅎ1:.....
ㄱ: My room.. my room`s key. 하고, 하고가 뭐에요? 앞에서 배웠잖 아요.
ㅎ: I don`t remember it..
ㄱ: “우리 가족은 어머니하고 아버지하고 동생과 저입니다.”
ㅎ2: and..
ㄱ: and.잖아요. my room`s key and my car ke…(skip)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에 대한 글입니다.설명
순서
한국어교실의의사소통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hwp( 85 )
1. 한국어 교실 수업 연구
2. 한국어 교실 수업의 의사소통
2.1 교사의 발화
2.2 학생의 발화
2.3 수업의 전체적 구조
2.4 한국어 교실의 언어 선택
2.5 주제 구조의 전개-의사소통의 과정과 조정
3. 한국어 교육 연구의 展望(전망)
발화 3에서 4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특별히 교사의 지명이나 지시가 없었지만 자동화된 수업의 틀을 참조하여 학생들은 순서 배분을 했다.한국어교실의의사소통 ,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에 대한 글입니다.
다.
학생의 이해 여부에 대한 파악은 학생이 영어로 번역한 의미를 제시함으로써 이뤄지는데 번역 지시와 번역 수행은 한국어 교실에서 자동화된 수업의 틀로서 빈번히 활용된다 그러나 번역이 교사 의도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는 교사는 학생들의 단편적인 응답이라고 이끌기 위한 유도를 계속적으로 하면서 요점를 한다. 학생1과 2가 이루는 과제課題는 발화 1-4로 구조를 완성했고 그 다음 학생2와 3의 순서에서는 발화5에서 14까지 주고받는 과정을 거쳐야했다. 그 과정은 학생2가 응답을 완성하도록 교사가 조정하는 과정인데 교사가 그 역할을 계속적으로 함으로써 의사소통을 이뤄가고 학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