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2 19:03
본문
Download : [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hwp
벤담이 주장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은 개인들의 만족이 최대가 되는 수준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비록 다수의 opinion을 따름으로써 소수의 opinion이 무시되지만 이는 우리 사회에서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공리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벤담의 주장은 워낙 단호해서 반박할만한 그럴듯한 근거가 보이지 않는다. 벤담에 따르면, 옳은 행위는 공리를 극대화하는 모든 행위이다. 이는 다수결의 원칙인 민주주의와도 상통하는 부분이다.[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
[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 , [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 최대다수 최대행복 추구 정당성
순서
Download : [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hwp( 57 )
레포트,최대다수,최대행복,추구,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
1.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가 왜 정당한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란 벤담의 공리주의의 기본원칙이다. 전반적으로 쾌락이 고통을 넘어서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개인의 행복을 우선으로 하되,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그 행복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한다. 그러나 인간은 굉장히 불합리하고 제한적인 상황에서 선택을 하게 되기 때문에 늘 올바르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기는 어렵다. 공리주의 논리를 일관되게 적…(skip)
설명
[레포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정당성
![[레포트]%20최대다수의%20최대행복%20추구의%20정당성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B5%9C%EB%8C%80%EB%8B%A4%EC%88%98%EC%9D%98%20%EC%B5%9C%EB%8C%80%ED%96%89%EB%B3%B5%20%EC%B6%94%EA%B5%AC%EC%9D%98%20%EC%A0%95%EB%8B%B9%EC%84%B1_hwp_01.gif)
![[레포트]%20최대다수의%20최대행복%20추구의%20정당성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B5%9C%EB%8C%80%EB%8B%A4%EC%88%98%EC%9D%98%20%EC%B5%9C%EB%8C%80%ED%96%89%EB%B3%B5%20%EC%B6%94%EA%B5%AC%EC%9D%98%20%EC%A0%95%EB%8B%B9%EC%84%B1_hwp_02.gif)
![[레포트]%20최대다수의%20최대행복%20추구의%20정당성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C%B5%9C%EB%8C%80%EB%8B%A4%EC%88%98%EC%9D%98%20%EC%B5%9C%EB%8C%80%ED%96%89%EB%B3%B5%20%EC%B6%94%EA%B5%AC%EC%9D%98%20%EC%A0%95%EB%8B%B9%EC%84%B1_hwp_03.gif)
레포트/법학행정
다. 이것은 사회 전체가 발전할 수 있는 이상적인 理論(이론)으로 보고 있따 공리주의의 the gist 사상은 도덕의 최고 원칙이 행복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수의 희생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최대한의 선택에 따른 것이므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추구는 정당하다고 볼 수 있따
2.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추구의 근본적 problem(문제점)은 무엇인가
우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말에서, 최대다수가 최대행복을 누린다는데 토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떤 정책에 대하여 찬성하는 사람이 10명, 반대하는 사람이 5명이라면 그 정책은 찬성 쪽으로 결정 될 것이다. 공리주의자들에게 개인은 단지 사람들의 선호도를 더할 때 계산되는 한 항목일 뿐이다. 얼핏 생각해보면 이 理論(이론)은 상당한 정당성을 확보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다수’가 ‘전체’를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에 다수의 행복이 소수의 불행이 될 수도 있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는 공리주의의 약점은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