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方案)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8 02:59본문
Download :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hwp
산업클러스터
레포트/경영경제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方案)에 관한 연구
순서
본 자료는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보고서입니다.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다.산업클러스터 ,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hwp( 78 )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산업클러스터의 理論적 고찰
1. 산업 클러스터의 槪念
2.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property(특성)
3. 산업클러스터의 유형
4. 산업클러스터 구성주체
Ⅲ. 산업클러스터 육성의 해외사례(instance)
1.인도의 소프트웨어산업 클러스터
2. 日本 의 IT클러스터
3. 뉴욕 실리콘 앨리
4. 필란드 올루 테크노파크
Ⅳ. 국내 산업클러스터
1. 대덕밸리의 IT, 바이오클러스터 : 대학· 연구소 주도형
2. 울산의 자동차 클러스터 : 대기업 주도형
3. 이천도자기 클러스터 : 지역특화형
Ⅴ. 해외의 성공요인 analysis 및 우리 나라의 問題點 도출
Ⅵ.산업클러스터 육성대책
Ⅶ. conclusion(결론)
1. 산업 클러스터의 槪念
가. 클러스터에 관한 기존 연구
ꋯ알프레드 마샬(1890) : 특화된 산업이 어떤 지역에 정착하면, 국지화경제에 의해 지리적인 특화가 강화.
ꋯ20세기 신고전파와 경제학자들이 ‘신무역론’과 ‘수확체증’의 관점에서 발전.
: 지리적으로 지역화된 산업일수록 국제적인 경쟁력이 더욱 강화됨.
ꋯOECD는 클러스터 槪念에 혁신理論을 가미한 경제지리학적 논의에 바탕을 두고 클러스터를 접근.
: ‘클러스터포커스그룹’에서 클러스터 내의 기술혁신 관행, 지식이전 메커니즘의 차이를 조사, 정책 도출.
ꋯ미국경쟁력위원회의 ‘혁신클러스터 프로젝트’
: 지역단위 클러스터의 성장과 기숙혁신 성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analysis틀 개발, 벤치마킹 결과 검토, 주요 정책결定義(정의) 效果 등을 analysis.
ꋯ영국의 ‘클러스터 정책운영위원회’ : 클러스터의 성장과 발전에 장애가 되는 요인 규명, 정책개발.
나. 클러스터의 槪念
ꋯ부품공급업체를 포함한 강한 독립성을 갖는 기업들의 생산네트워크, 대학 · 연구소 등 지식생산주체, 브로커 · 컨설턴트 등 경제주체간 가교역할을 하는 기관, 고객 등이 생산체계에서 부가가치를 주 수 있도록 연계된 것.
ꋯ전반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한 산업에 속한 유관 기관간의 연계로 이루어진 일군의 조직체
ꋯ특정분야에서 경쟁 및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 전문 공급업체, 용역업체, 관련산업의 기업, 대학 · 연구소 · 기업 연합체 등 기관들의 결집체
ꋯ혁신 클러스터 : 대학, 공공연구기관, 컨설팅 회사, 지식집약 사업서비스 회사, 브로커 등 지식을 취급하는 조직을 클러스터의 혁신주체에 포함함.
ꋯ산업 클러스터 : 어느 지역의 특정산업에 대한 클러스터 지칭.
협의 - 일정한 지역내에…(투비컨티뉴드 )
본 자료(資料)는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方案)에 관한 연구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