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0:36
본문
Download :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hwp
안중근 의사를 우리는 ‘테러범’ 이라고 하지 않고 ‘의사’라고 부르는 이유도 개인의 定義(정의) 실현을 정당화했기 때문이며, 이런 개인들이 모여 또 다른 사회적 제도들이 만들어 질 것이다.
사고와,표현,개인과,사회,법학행정,레포트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 ,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법학행정레포트 , 사고와 표현 개인과 사회
주제 : 사회적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는 개인의 定義(정의) 실현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사회제도는 사회구성원들의 기본적인 요구와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키려는 수단으로 만들어낸 역할과 규범체계를 말한다. 우리는 이 사회제도 안에서 불안을 느끼기도 하고 동시에 안정감을 느끼기도 하며 살아간다. 강풀의 만화, 「26년」에서는 이러한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는 개인의 定義(정의) 실현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나는 사회적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는 개인의 定義(정의) 실현은 정당화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定義(정의)’라는 단어에 초점을 두면, ‘定義(정의)’는 사회제도의 제1덕목으로 법이나 제도의 정당성을 평가해 주는 기준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사회적제도가 완벽한 것은 아니며 그 한계는 반드시 존재한다. 518운동의 주범인 전두환이 호의호식하며 살고 있고, 15년 전쟁의 주범인 히로히토 역시 건재했다.
반대의 입장에서 예를 들면, 성폭력 피해자의 아버지가 가해자를 살해 했을 때 , 살인이 정당화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확실한 ‘定義(정의) 실현’인지 파악해야 하며 ‘定義(정의) 실현’이라고 할지라도 그냥 살인자와는 엄연히 다른 대우를 받아야한다.
출처
-두산백과, 지식백과
-사고와 표현 1 (p61~63)…(생략(省略))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
순서
Download : 사고와 표현1 - 개인과 사회.hwp( 13 )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다. 이러한 定義(정의)를 실현하는데 사회적 제도에 한계가 있다면 개인이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이러한 개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른 제도를 만들고 발전시켜 나아갈 것이다. 또 이런 식이라면 그 당시 사회적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는 행동이었을 민주화 운동이나 크고 작은 시위들이 정당화될 수 없다는 뜻이고,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를 인정해서는 안 되는 것이 된다
우리가 독립투사라고 배웠던 사람들도 대부분 사회적 제도의 한계를 벗어나는 행동을 했던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