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스 메를로 - 퐁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2:09
본문
Download : 모리스 메를로 - 퐁티.hwp
1-4 퐁티는 이러한 인간의 생물종으로서의 독특한 기능과 그의 따라 형성되는 온갖 일들이 발생하는 원천을 캐고자 한다. 퐁티는 지각세계, 즉 온 몸으로 또는 모의 각 기관으로써 만나고 체험하는 구체적인 세계를 가장 중요한 철학탐구의 영역으로 정식화 하고자 했다 물론 이는 훗설의 생활 세계를 더 강력하게 밀고 나감으로써 성립되는 작업이다. 모리스메를로 , 모리스 메를로 - 퐁티자연과학레포트 ,
순서
1. 메를로-퐁티 철학의 기초 : 몸 지각 그리고 세계
1-1 메를로-퐁티는 근대철학사를 꿰뚫고 내려온 정신의 절대화를 근원적으로 비판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체 왜 그럴까?, 사과가 다 익어 나무에서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하는 식의 물음을 던진다.
1-2 인간 정신의 절대적인 우월성을 포기한 메를로-퐁티는 우선 인간이 어떻게 이 세계를 체험하고 살아가는가를 다른 유기체들과 같은 차원에서 탐색한다.
1-3 이에 우리는 “아메바와 인간의 같은 점은 무엇일까?”라는 다소 생소한 물음을 통해 메를로-퐁티철학의 기초를 파 들어가 볼 수 있따
아메바나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보면 모두 하나의 생물종이다. 즉 아메바가 몸을 느려뜨려 길쭉하게 위족을 만들어 내듯이 인간이 자신의 몸을 ‘늘려뜨려’ 정신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생물종인 아메바와 인간은 각각 나름의 독특한 기능을 갖고서 자신에게 주어진 環境세계와 투쟁하고 화합한다. 정신이 절대화됨으로써 정신 내적인 세계가 우리가 살아가는 바깥의 실제 세계보다 더 참다운 세계라고 말하게 된다 그는 바로 이러한 사상을 깨트리려고 한다. 생물은 자신의 環境을 갖는다. 인간에게 아메바의 위족기능(아메바의 몸-다리 기능)이 몸 전체로 살아나는 모습이 있따 그것은 바로 정신의 발현이다.
다. 이런 물음을 던지는 이유는 사유와 반성이 깔려 있따 ‘정신-생각-반성’은 인간이 독특하게 일구어온 생물종으로서의 독자적인 기능이다.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모리스 메를로 - 퐁티.hwp( 19 )
`모리스 메를로 - 퐁티`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퐁…(생략(省略))
,자연과학,레포트
모리스메를로
모리스 메를로 - 퐁티
설명
`모리스 메를로 - 퐁티`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그래서 퐁티의 첫 주저인 『행동의 구조』는 인간 행동 구조뿐만 아니라 이를 탐구하기 위한 유비적인 기초로서 아메바, 잉어, 닭, 침팬지 등의 행동의 구조를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