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조경가 작품 설명(說明)[조지 하그리브스, 피터워커, 옴스테드, 렘쿨하스] > jjalbang8 | jjalbang.co.kr report

조경가 작품 설명(說明)[조지 하그리브스, 피터워커, 옴스테드, 렘쿨하스] > jjalbang8

본문 바로가기

jjalbang8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조경가 작품 설명(說明)[조지 하그리브스, 피터워커, 옴스테드, 렘쿨하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2 10:51

본문




Download :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hwp




이는 대상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대상과 함께 이를 둘러싸고 있는 環境과 culture, history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그리브스는 環境예술은 모더니즘 이후의 조경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그리브스는 경관의 의미와 상징성을 표현하기 위해 컨텍스트와 history성을 추구, 그리고 기존 질서의 부정을 통한 해체적 접근과 같은 것을 시도하였다.
- 작품 4-2 Grand Palais
순서


설명

조경가 작품 설명(說明)[조지 하그리브스, 피터워커, 옴스테드, 렘쿨하스]


- 작품 1-1 캔들스틱 포인트 파크(CANDLESTICK POINT CULURE PARK)


- 작품 4-3 넥서스 월드 집합주
- 작품 2-1 Center for the advanced Sience and Technology
- 작품 1-5 SAN JOSE PLAZA PARK


1. 조지 하그리브스(George Hargreaves)



- 작품 3-2 브루클린 프로스펙트 파크
조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본격적으로 주장하며 open composition이라는 독특한 접근방식을 시도하여 자연의 현상학이나 부지의 culture적 context를 조경을 통해 표현하려 하였다.

Download :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hwp( 23 )




- 작품 1-4 루이빌 워터프론트 공원(LOUISVILLE WATERFRONT PARK)

이같이 현재 그가 이 시대에 조경에 표현하려는 것은 자연의 현상과 그 지방의 고유한 culture를 조경에 어떻게 연결 시키냐 하는 것이다. 하그리브스가 조경을 통해서 추구하는 것은 첫째,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더 큰 주변環境을 연결시켜 주는 것 둘째, 물의 흐름, 바람의 움직임, 빛의 alteration(변화) 와 같은 자연의 현상 셋째, 인문학적인 탐구 등 이러한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맥락주의, 해체주의, 생태주의 등 다방면에 걸친 實驗적 작품을 발표하였다. 하그리브스는 조경을 “culture와 자연의 만남의 장”이라고 표현한다고 하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 작품 4-1 트리시티(Tree City)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7263_01_.gif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7263_02_.gif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7263_03_.gif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7263_04_.gif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7263_05_.gif
- 작품 3-1 센트럴 파크


3.옴스테드 (F. L. Olmsted)

4. 렘쿨하스(Rem Koolhas)

- 작품 1-3 크라시필드(CRISSY FIELD)
- 작품 2-2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Library Walk
- 작품 1-2 빅스비파크(BYXBEE PARK)


조경가 작품 설명,조지 하그리브스, 피터워커, 옴스테드, 렘쿨하스
신세대 조경가로서 자연가로서 자연과 環境을 표현하기 위해 모던이즘 이후 조경을 보다 외부 지향적으로 만들고 環境예술에서 추구한 시간에 의한 alteration(변화) 의 과정과 부지의 고유한 특성에서 이끌어 나오는 의미들을 조경을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조경이 環境 예술가들이 추구하던 것을 훨씬 더 훌륭하게 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함으로써 環境예술에서 촉발된 의미에 대한 관심을 조경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할 것을 주장하다. 2. 피터 워커(Peter Walker)
1. 조지 하그리브스(George Hargreaves) - 작품 1-1 캔들스틱 포인트 파크(CANDLESTICK POINT CULURE PARK) - 작품 1-2 빅스비파크(BYXBEE PARK) - 작품 1-3 크라시필드(CRISSY FIELD) - 작품 1-4 루이빌 워터프론트 공원(LOUISVILLE WATERFRONT PARK) - 작품 1-5 SAN JOSE PLAZA PARK 2. 피터 워커(Peter Walker) - 작품 2-1 Center for the advanced Sience and Technology - 작품 2-2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Library Walk 3.옴스테드 (F. L. Olmsted) - 작품 3-1 센트럴 파크 - 작품 3-2 브루클린 프로스펙트 파크 4. 렘쿨하스(Rem Koolhas) - 작품 4-1 트리시티(Tree City) - 작품 4-2 Grand Palais - 작품 4-3 넥서스 월드 집합주
그는 포스트모더니즘 조경에 관한 거의 최초의 논문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포스트모더니즘 조경의 나아갈 바를 모더니즘의 내부지향적 닫힌 구성에서 벗어나 외부 지향적 열린 구성으로, 모더니즘의 추상적 기능 다이어그램적 접근에서 벗어나 현장을 중시하는 맥락주의적 접근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그리브스는 이 세 가지를 한데 엮어 사용함으로써 조경을 통해 자연과 culture의 진정한 의미를 표현하려 했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jjalbang.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