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5:45
본문
Download : 순자_2031446.hwp
순자는 이름이 황(況)이며 순경(筍卿)이라고도 부르는데 경(卿)은 자(字)라는 견해도 있고 존칭이라는 견해도 있다 한대 이후로는 손경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한나라 선제의 이름 순을 휘하여 손이라 고쳐부르게 된것이다.
민왕이 죽어 직하의 여러 학자들이 흩어졌으나 양왕이 다시 학자들을 모아 文化(문화)의 부흥을 꾀했다. 초나라 재상 춘신군은 순자를 맞나 난릉 땅의 수령에 임명하였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춘산군에게 말하였다. 또한 옛날 순나라 공손씨 집안이라 하여 손경이라 부른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순자는 기원전 323년경 조(趙)나라 (지금의 산서성)에서 태어났다. 이를 근거로 그의 생애를 대략 살펴보기로 한다. 직하에는 유가를 비롯해 묵가 ,도가, 법가, 명가 등에 속하는 전국의 학자들아 모여들어 자유로이 자기 분야의 학문을 연구하고 있었으므로 한때 이곳을 중심으로 학문이 크게 번창하였다.
순서
다. <사기>열전에 의하면 순자는 이 무렵 가장 연장자로서 높은 대우를 받으며 좨주라는 존경받는 벼슬을 세 번이나 지냈다 한다. 의병편과 강국편…(생략(省略))
순자의 생애,사상,저서,맹자와의 비교에 관한 글입니다. 이것은 기원전 265년경의 일이었다.
`탕임금은 칠십리 사방의 땅, 문왕은 백리 사방의 땅을 주었느니 초나라가 위태롭습니다,`
이에 춘신군이 순자를 파면하니 그는 다시 조나라로 돌아갔다.
그러나 순자는 어떤 자의 모함을 받아 제나라를 떠나 초나라로 갔다.순자97 , 순자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순자_2031446.hwp( 50 )
설명






순자97
레포트/인문사회
1. 순자의 생애
2. 유가에서의 순자의 위치
3. 순자의 저서
4. 사상
(1)자연론
(2)성악설
(3)인식론
(4)예론
(5)정치론
5. 순자의 중요성
6 순자 사상의 개관
7. 맹자와 순자의 성설(性說) 비교
1. 순자의 생애
순자의 생애에 대한 기록으로는 사마천(司馬遷,BC145~BC86?)의 <사기(史記)>의 열전(列傳)이 가장 대표적이다.순자
순자의 생애,사상,저서,맹자와의 비교에 관한 글입니다.
순자가 조나라 호성왕 앞에서 임무군과 군사에 관한 토론을 한 것은 이 시기였다. 이때 제나라 직하에는 위선왕때부터 임금의 보호에 힘입어 수많은 학자들이 모여 학문을 토론하며 연마하고 있었으므로 제나라 민왕 말년에 순자도 그곳으로 가 학문을 닦았다. 또한 이사이에 이웃 진(秦)나라에도 가서 재상인 응후와 대담을 하였다. 순자는 고행에서 공부를 해 열다섯 살에는 수재라 일컬어졌다.
순자는 이곳에서 폭넓은 학문의 기틀을 잡았을 것이다.